음악치료악기란?
음악치료에 사용되는 악기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고 일부 악기는 실제로 음악치료세션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악치료악기라고 해서 특별히 치료용으로 주문 제작되는 것은 아니고 기존의 악기들을 음악치료세션에서 응용하는 것입니다.
음악치료사는 클라이언트에 맞게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악기를 선택하고 악기의 어떤 특성을 어떻게 적용시킬지 음악의 치료적 역할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악치료악기 종류
음악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악기들을 모양과 연주 방법에 따라 크게 구분지었지만 음악치료 목적이나 치료사의 적용 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한 카테고리류에 해당되지 않을 수 있고 혹은 중복 해당 될 수도 있으니 감안해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음악치료악기 중 흔히 접할 수 있는 기타, 피아노 등을 제외하고 타악기 위주로 골라보았습니다.
- 드럼류 : 게더링드럼, 로그드럼, 롤리팝드럼, 봉고, 스틸드럼, 스프링드럼, 오션드럼, 젬베, 투바노, 패들드럼, 핸드드럼, 소고, 카혼, 드럼패드
- 실로폰류 : 계단실로폰, 공명실로폰
- 벨류 : 라운드벨, 슬레이벨, 아고고벨, 터치벨, 핸드벨, 손잡이방울
- 스틱류 : 레인스틱, 리듬스틱, 징글스틱, 클라베스, 멀티톤탱크
- 쉐이커류 : 과일쉐이커, 마라카스, 에그쉐이커, 핑거에그쉐이커, 치키타스, 카바사, 쉐케레, 크리켓
- 블럭류 : 멀티톤블럭, 우드블럭, 템플블럭
- 차임벨류 : 에너지차임, 윈드차임
- 귀로, 코끼리코
- 라쳇, 비브라슬랩, 플렉사톤, 칭촉, 핑거심벌, 붐웨커
음악치료세션 중 사용된 악기 사례
음악치료세션 중 사용한 음악치료악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노출하지는 않았고 사용 목적과 어떻게 사용하였는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공명실로폰 : 집중력 향상을 목적으로 색깔악보와 함께 사용
- 드럼류 : 즉흥 연주를 통해 감정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함
- 특이한 악기들 : 대화가 부족한 그룹에 클라베스, 레인스틱, 카바사, 플렉사톤, 슬레이벨 등 평소에 접하기 힘든 악기들을 나누어주어 흥미를 유발하고 악기를 주제로 한 대화가 이후 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도록 유도
- 캐스터네츠 : 손가락 운동에 사용
- 레인스틱 : 관절운동범위 확장을 목적으로 사용
- 터치벨 : 노래 중 해당 악기의 색상과 일치하는 가사가 나올 경우 터치하도록 하여 지시따르기와 집중력 향상에 도움
- 악기 탐색과 선택 이유에 대한 토론, 연주 시간 : 촉각, 시각, 청각 등을 자극하여 통합감각훈련에 좋고 이후의 토론과 연주시간은 비언어적, 기능적 의사소통 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 이 때 사용하는 악기는 클라이언트의 수준을 고려하여 선택하는데 예를 들어, 아동을 대상을 할 경우 에그쉐이커, 과일쉐이커, 마라카스, 롤리팝드럼, 핸드드럼, 기타, 키보드 등 사용 가능
- 에그쉐이커 : 집중력, 기억력, 상호 작용 등을 높이기 위해 가사 중 일부를 그림카드로 만들어 노래를 부르다가 가사 중 좋아하는 그림카드가 있을 때 에그쉐이커를 흔들도록 함. 이를 기억했다가 가사를 개사하여 모두 다 같이 부르도록 함
- 에그쉐이커, 과일쉐이커 : 노래에 맞춰 악기를 전달하도록 함. 지시따르기를 목적으로 수행
- 패들드럼, 에너지차임, 공명실로폰, 핑거심벌즈 등 : 기분이 드는 대로 연주하도록 하여 본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함
- 롤리팝드럼 : 노래와 악기의 유사성을 위해 사탕이 들어가는 가사의 곡을 선택하여 활동
- 드럼, 라운드벨, 우드블럭, 마라카스 : 연주 방법 다르고 소리가 이직절인 악기들로 구성하여 나누어 준 후 다른 음악적 큐를 주어 연주하도록 함. 집중력과 합주를 통한 협동심 향상
- 드럼류 : 노래를 부르며 악기를 연주하는데 다른 사람의 표현을 모방하도록 함. 집중 전환력 목표
- 기타, 젬베, 멀티톤탱크 등 : 치료사가 특정한 음계로 연주를 하고 클라이언트는 해당 느낌에 맞춰 자유롭게 젬베를 같이 연주하도록 함. 젬베의 연주를 어려워하지 않으면 멀티톤탱크를 연주해 보도록 함. 협동심, 타인과의 교류 향상 목적
- 붐웨커 : 연주 에너지가 높은 클라이언트 대상으로 적용
- 우드블럭, 템플블럭 : 블럭의 딱딱 끊어지는 소리의 특성을 이용하여 스타카토가 등장하는 노래에 해당 부분에 연주하도록 지시. 집중력, 청각 훈련에 사용
- 손목방울 : 움직임이 많은 세션에 사용
- 개더링드럼 : 함께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할 때 사용
음악치료악기의 치료적 역할을 다룬 연구
악기연주와 음악치료와의 상관 관계를 주제로 연구한 논문들은 다수있습니다. 음악치료악기가 실제로 클라이언트에 따라, 치료 목적에 따라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연구 논문 중 참고할 만한 몇 편을 소개합니다.
-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요양시설 노인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은아, 문소영.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2 No.1,2021.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 치료적 타악기 재창작 연주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민혁, 이상은.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1 No.1, 2020.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 모방과 반영 기업를 적용한 즉흥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자폐아동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은혜, 강경선. 발달장애연구 Vol.15 No.1, 2011. 한국발달장애학회
- 베이스기타 연주중심의 음악치료가 뇌성마비 청조년의 양측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재훈, 문소영.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3 No.1, 2022.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 악기 연주를 사용한 인지 훈련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 윤영지.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0 No.1,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
- 중추신경계 손상 성인 대상 손 기능 향상을 위한 우쿨렐레 활용 치료적 악기연주 사례, 주예은, 박진경.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9 No.2, 2022.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자일로폰 악기연주 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민경,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9 No.2, 200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 청소년의 문제 행동 특성에 따른 타악기 즉흥연주 패턴 연주, 강혜숙.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1 No.2, 2014.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