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치료음악이란?
음악치료음악은 ‘여기 아플 때는 이 약을 드세요’처럼 딱 정해져있지는 않다. 클라이언트의 상황과 상태가 너무 다양하고 음악치료사가 선택한 곡도 같은 곡이라도 사용되는 이유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치매노인 음악치료 세션에서 사용된 ‘당신없이는 못살아’를 들어보겠다.
어떤 치료사는 기억 유지를 위해 해당 노래의 가사를 바꿔부르기를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신체활동과 기억력 증진을 동시에 목표로 하며 A-A’-B의 단순한 구조를 활용하여 특정 부분에 박수를 치거나 악기를 연주하게 하는 활동에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클라이언트가 아동인지 성인인지 노인인지에 따라 혹은 곡의 구조, 느낌 등에 따라 음악들이 어느 정도 범주화될 수는 있다. 하지만 그 범주 안에서도 이럴 땐 이런 곡을 특정지을 수는 없다.
다음은 음악치료세션 중 사용되었던 곡들과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었는지를 소개해본다.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음악
- 빙고 – 악기 선택과 지시에 맞춰 연주하기 활동을 위해 곡 전체 사용
- 우리 모두 다같이 – 규칙송으로 개사하여 곡 전체를 사용
- 악기 놀이 – 악기 탐색 후 지시에 맞춰 연주하기 활동을 위해 곡 전체 사용
- 기분을 말해봐 – 북 즉흥연주의 시작 큐로 노래의 일부를 활용
- 피노키오 – 피아노 반주 변화에 맞춰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악기 연주하기를 위해 곡 전체 사용
- 하늘에서 사탕이 내려온다면 – 가사에 맞춰 롤리팝드럼 연주하기에 곡 전체 활용
- 옆에 옆에 – 쉐이커를 옆으로 돌리며 율동과 노래를 하는 협동놀이에 곡 전체 사용
- 그대로 멈춰라 – Play & Stop과 동작 모방 후 멈추기 활동에 곡 일부분 사용
- 동물원에 갔어요 – 가사에 맞춰 동물의 움직임 표현하기 활동
- 작은 동물원 – 걷다가 음악적 큐에 동작 변경하며 걷기 활동
- 옹담샘 – 3박자 리듬치기에 활용
- 공룡따라해봐요 – 준비된 그림카드를 보고 표현한 것을 따라하기
- 열 꼬마 인디언, 상어가족 – 색깔악보에 맞춰 붐웨커 연주
- 빠라빰캐리밴드 – 합주하기에 사용
- 원숭이 – 노래에 맞춰 원하는 소리를 내고 악기 연주
- 도룡뇽 – 계이름 익히기에 사용
- 하쿠나마타타 – 동물의 움직임별로 율동하기에 활용
- 작은 세상 – 싱어롱에 사용
- 괜찮아요 – 개사하여 헬로송으로 활용
뇌성마비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음악
- 섬집아기 – 운동가능한 영역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 캐스터네츠와 레인스틱을 연주할 때 사용
- 시장에 가면 – 언어영역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 개사하여 사용
- 가을길 – 인지.사회정서영역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 터치벨 연주와 개사로 활동
성인을 위한 음악치료음악
- 지적장애 성인 대상 아이유의 ‘가을 아침’ – 색깔악보에 맞춰 공명실로폰 연주활동에 사용
- 부적절감정조절장애 성인 대상 퀸의 ‘Bohemian Rhapsody’ – 부적절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타악기 연주 시 활용
- 부적절감정조절장애 성인 대상 제이레빗의 ‘요즘 너 말야’ – 노래 감상 후 제시된 주제에 맞춰 개사하여 노래하도록 함
- 교류가 부족한 가족단체세션에서 이적의 ‘걱정말아요 그대’ – 공동체의식, 긍정교류형성 목적, 상호 호명이나 특이한 악기 연주로 흥미 유발과 가족끼리 대화 유도에 활용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음악
- 패티김의 ‘당신 없이는 못 살아’ – 지남력복원과 유지를 위해 정답카드를 붙여 개사한 악보지를 보며 노래하는 데 사용
- 한정무의 ‘꿈에 본 내고향’ – 장기 기억 인출을 위해 친근한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도록 하는 데 사용
- 라나에로스포 ‘사랑해’ – 특정 가사에 생각나는 사람의 이름을 넣어 개사하여 사용하도록 함
- 현철의 ‘사랑의 이름표’ – 각자 이름표를 만들어 부착하고 가사에서 지시하는 신체 부위에 붙이고 특정 박자에 이름표를 떼었다 붙였다 반복하는 활동에 사용. 단기 기억 유지와 활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신체 활동에 사용
- 패티김 ‘서울의 찬가’ – 악기를 분배하고 노래의 특정 부분에 해당 악기를 연주하도록 하는 데 사용
노인음악치료 사용 가요 추천
가나다순으로 정리했으며 최근 트로트보다 이전 트로트 곡 위주입니다.
가슴 아프게, 갑돌이와 갑순이, 개나리처녀, 고향무정, 고향으로 가는 배, 고향초, 과거는 흘러갔다, 길가에 앉아서, 꽃마차, 꿈에 본 내 고향, 까치가 울면, 나 하나의 사랑, 나는 열일곱살이예요, 나는 행복합니다, 나성에 가면, 낙화유수, 낭만에 대하여, 날 버린 남자, 남행열차, 내 고향으로 마차는 간다, 내 나이가 어때서, 내 마음 별과 같이, 내곁에 있어주, 노란 셔츠의 사나이, 눈물 젖은 두만강,
단둘이 가봤으면, 달타령, 당신 없이는 못 살아, 대동강달밤, 대전 블루스, 돌아와요 부산항에, 동백아가씨, 두메산골, 맨발의 청춘, 모정의 세월, 목포의 눈물, 머나먼 고향, 묻지마세요, 밀양 아리랑, 바위섬, 바닷가에서, 바닷가의 추억, 봄날은 간다, 비내리는 고모령, 비내리는 호남선, 산 너머 남촌에는, 산장의 여인, 선생님, 섬마을 선생님, 신 만고강산, 신사동 그사람, 십오야,
아리랑 낭낭, 아리랑 목동, 아리조나 카우보이, 아메리카 차이나타운, 아모르파티, 아빠의 청춘, 여고 졸업반, 여자의 일생, 열아홉 순정, 오동동 타령, 오동잎, 왕서방 연서, 울고 넘는 박달재, 울어라 열풍아, 월남의 달밤, 유정천리, 전선야곡, 제비처럼, 조각달, 짝사랑, 찔레꽃, 창부타령, 처녀 뱃사공, 청포도 마도로스, 청포도사랑, 청춘 브라보, 추억의 소야곡, 쾌지나 칭칭나네, 타양살이, 태평가, 하숙생, 허공, 홍콩아가씨, 홍도야 울지마라, 황성옛터, 황포돛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