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큼한 봄날 같은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 정보 ost

봄에 어울리는 가을 배경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

미술관 옆 동물원 정보와 출연진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은 1998년에 개봉한 이정향 감독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배우 심은하 (춘희 역) , 이성재 (철수 역), 안성기(인공 역), 송선미 (다혜 역) 가 출연하는데 심은하의 풋풋했던 시절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미술관 옆 동물원 중

미술관 옆 동물원 ost 또한 유명한대 모 방송국의 집 고쳐주는 프로그램에 사용되어 집에 들어갈 때 문이 열리면 자동으로 튀어나오는 국민 음악이 되었다. ‘딴따 따라따~~ 딴 따라라라~’ 의 출처가 바로 이 영화이다.

 

줄거리

영화는 현실 속의 춘희와 철수 그리고 그 둘이 만들어 가는 시나리오 속의 다혜와 인공의 이야기로 전개된다. 결혼 비디오 촬영기사 춘희는 결혼식마다 자주 마주치는 국회의원 보좌관 인공을 짝사랑한다.

그런 춘희가 살고 있는 집에 제대를 앞두고 휴가를 나온 철수가 갑자기 들이닥치는데 그곳은 철수의 여자 친구 다혜의 집이었기 때문이다. 다혜는 이미 이사를 간 상태이고 철수는 다혜를 만나기 위해 그 집에 눌러 앉게 된다. 생활 방식도, 사랑에 대한 정의도 다르고 많은 면에서 너무 나도 다른 이 둘의 갑작스러운 동거가 시작되며 본격적으로 서로의 생활에 개입을 한다.

급기야 춘희가 시나리오 공모전에 제출하려고 작성 중인 시나리오를 미술관과 동물원같이 공통점이 없는 둘이 같이 써 내려간다. 시나리오의 줄거리가 춘희와 철수의 주장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데 동시에 그들의 실제 삶에도 슬슬 변화가 진행된다. 어느 순간부터는 시나리오의 주인공이 현실의 주인공을 리드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명대사

춘희의 대사 중 “프레임에 담으면 다 의미가 있어 보여”

그래서 그런지 영화 속에서는 네모난 프레임을 통해서 주인공들의 행동을 포착하는 장면들이 자주 나온다. 특히, 춘희가 두 손가락으로 네모를 만들어 눈에 가까이 대고 다른 곳을 보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나중에는 철수가 따라 하기도 한다.

시나리오 속에서는 인공이 보고 있던 프레임 속 그림을 다혜가 다시 가서 자세히 들여다보며 인공을 공감하는 장면, 현실에서는 철수가 운전하던 차 사이드 미러로 춘희가 버스에 탄 것을 확인하며 안심하는 장면 등이다. 서로에 대해 열리고 있는 마음을 프레임을 통해 보여준다.

 

미술관 옆 동물원 OST Pick

  • ‘시놉시스’ – 김대홍

앞서 말한 곡은 김대홍의 ‘시놉시스’라는 곡으로 영화 전반에 변주되어 계속 사용된다. 영화의 계절적 배경은 가을이 주를 이루지만 영화의 줄거리와 사용된 영화 음악들의 느낌은 봄에 가깝다. 봉오리에서 이제 막 터진 봄꽃의 느낌처럼 상큼하고 경쾌하다.

참고로 김대홍은 음악 감독으로 미술관 옆 동물원에서는 사운드팀에서 작업하였다. 영화 ‘인정사정 볼 것 없다’ (1999)와 ‘집으로’ (2002) 등에서 음악 감독을 맡았다.

영화 음악 ‘시놉시스’는 시나리오 속 미술관 관람을 하는 인공을 지켜보는 다혜가 나오는 장면, 인공이 다혜의 존재를 알게 되는 장면 그리고 다혜가 지속적으로 인공에게 말을 거는 장면 등에서 나온다. ‘시놉시스’의 밝은 멜로디 라인은 둘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진행됨을 예측할 수 있게 해 준다.

  • Let there be love – Laura Figy

너무나도 유명한 재즈 보컬리스트 로라 피기의 살짝 허스키한 음색이 돋보이는 “Let there be love”는 이제 막 사랑한 사람들의 주제곡으로 딱 어울릴 만큼 러블리한 곡이다.

영화 속에서는 시나리오 속 미술관 안내원인 다혜가 노란 옷을 입고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는 장면에서 나온다. 지나가며 짝사랑 존재인 동물원 수의사 인공을 본다. 영화 속 계절은 가을이고 재즈곡임에도 불구하고 멜로디의 느낌이 봄을 연상시킨다.

  • 엘가의 ‘사랑의 인사’

엘가의 ‘사랑의 인사’는 시나리오 속 인공과 다혜가 마침내 함께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는 장면에서 나온다. 자전거를 타며 별, 달, 밤하늘을 이야기하는데 처음으로 인공이 웃음을 보이고 다혜는 자기의 생각을 말하는 장면이다. 둘의 사랑이 꽃 필 무렵 현실에서도 사랑의 인사가 진행된다.

마침내 영화를 같이 보는 춘희와 철수 그리고 인공과 다혜도 영화관 좌석에 함께 앉아 있다. 철수가 춘희에게 생일 카드를 줄 때는 인공과 다혜는 빰에 키스를 한다. 맨 마지막 미술관과 동물원 이정표 아래 서게 된 춘희와 철수를 담은 장면에서도 상큼하고 경쾌한 느낌을 배가시키며 사랑의 인사가 배경 음악으로 등장한다.

사랑의 인사를 작곡한 엘가는 영국의 작곡가이다. 약혼녀 캐롤라인을 위해 작곡한 곡이며 원래는 피아노곡이었지만 1889년 엘가가 직접 관현악용으로 편곡했고 다양한 악기 버전으로 연주되고 있다.

엘가는 캐롤라인에 대한 신분, 경제적 콤플렉스가 있었지만 캐롤라인은 엘가에게 최선의 조력을 하고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약혼식을 거행한다. 이에 대한 고마움과 미안함 마음을 표현한 곡이 사랑의 인사이고 둘은 마침내 결혼에 성공한다.

엘가가 작곡한 곡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또 다른 곡으로는 관현악곡 ‘위풍당당 행진곡’이 있다. 이 곡에 가사를 붙인 ‘희망과 영광의 나라’는 영국인들의 애창곡으로 국가 행사에 빠지지 않고 연주되는 영국을 상징하는 대표곡이다. 이러한 업적으로 나라로부터 경, 남작 등의 작위를 받는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사랑은 풍덩 빠져드는 게 아니라 서서히 물드는 것”

동물원을 좋아했던 남자가 여자가 좋아하던 미술관을 가고, 남자를 찾으러 동물원으로 향하는 여자, 남자가 좋아하던 우주 관련 책을 여자가 읽고, 여자가 잘 타던 자전거를 남자가 타게 되고… 현실과 시나리오의 주인공들은 춘희의 말대로 서로에게 그렇게 스며들고 있었다.

참고로 이 영화의 제목에 있는 미술관과 동물원이 같이 있는 곳은 과천인데 서울대공원 동물원이 있고 근처에 국립현대미술관이 있기는 하지만 영화 속 이정표는 없다.

Leave a Comment